사기꾼들의 심리, 왜 남에게 피해를 주고도 괜찮을까?

 

 

 

“그렇게 사람 속이고도 양심에 안 찔려요?”

사기꾼들의 심리, 그들은 왜 남에게 피해를 주고도 괜찮은 걸까?

 

 

“그 사람, 아무렇지도 않게 거짓말을 했어요.”

 

“피해자가 울고 있는데도 눈 하나 깜짝 안 하더라고요.”

이런 말, 사기 피해를 입은 분들이 가장 많이 하시는 말입니다.

 

“어떻게 저렇게 뻔뻔하게 남을 속일 수 있을까?”

 

오늘은 그 궁금증에 답해보려 합니다.

사기꾼은 어떤 심리구조를 가지고 있는지,

왜 죄책감 없이 사람을 속일 수 있는지

심리학적 요소와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정리해드릴게요.

 

 

■ 1. 자기중심성 – “내가 우선이야. 너는 아니야.”

 

사기꾼들은 타인의 감정보다

자신의 욕구와 생존을 최우선으로 생각합니다.

내가 원하는 걸 얻기 위해선 거짓말도 필요하다고 생각하며

상대는 **‘이용해도 되는 대상’**일 뿐이라는

극단적인 자기중심적 사고를 합니다.

 

→ 타인의 고통은 전혀 중요하지 않거나, 보이지 않습니다.

 

 

■ 2. 공감 능력 결여 – 감정이입이 되지 않는 사람들

 

이들은 상대방이 속고 고통받는 상황에서도 죄책감을 느끼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공감 회로’ 자체가 약하거나, 차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불쌍하긴 하지만 어쩌겠어, 그 사람도 잘못이 있겠지.”

“세상 물정 모르는 사람한테 조금 가르쳐준 거야.”

 도덕적 감각이나 후회 회로가 작동하지 않는 것입니다.

 

 

■ 3. 자기합리화 – “내가 나쁜 게 아니야. 어쩔 수 없었어.”

 

많은 사기꾼들은

자신의 행동을 철저히 합리화합니다.

“나도 힘들어서 그랬다.”

“어차피 저 사람도 손해 볼 정도는 아니었어.”

“사회 구조가 원래 이런 걸 어떡해.”

→ 자신을 피해자처럼 설정하고,

행동에 대한 정당성을 스스로 부여해요.

 

 

■ 4. 조종욕과 우월감 – “이 바보들… 내가 한 수 위야.”

 

일부 사기꾼은 단순히 돈이 아니라

**“사람을 조종했다는 성취감”**에서 쾌감을 느끼기도 합니다.

“저 사람 완전 내 손바닥이었어.”

“내 말 몇 마디에 통장 비번 주더라.”

 조종자로서의 우월감, 지배욕이 동기가 되는 경우입니다.

 

이런 성향은 **반사회성 성격장애(사이코패스적 기질)**과도 연관이 있습니다.

 

 

■ 5. 실패나 처벌에 대한 감각 둔화 – “안 걸려. 설령 걸려도 별일 아냐.”

 

몇몇 사기꾼은

거짓말에 대한 처벌 가능성을 낮게 평가합니다.

왜냐하면, 과거에 잘 넘어간 경험이 있거나

법망을 피하는 요령을 안다고 믿기 때문이죠.

 

→ “안 걸리면 그만”

→ “걸려도 어차피 벌금이나 좀 내면 끝”

 

법적 처벌보다 ‘이득’이 크다는 판단이 우선입니다.

 

 

■ 6. 자아 분리 – ‘사기치는 나’와 ‘평범한 나’를 따로 생각한다

 

사기꾼 중 일부는

범죄 행위와 자신의 자아를 분리합니다.

평소엔 가족에게 잘하고, 사회생활도 문제없지만

타인을 속일 때는 ‘다른 페르소나(가면)’처럼 행동

 

→ 그래서 주변 사람들이 “그 사람은 그럴 사람이 아닌데…”라고 말하는 겁니다.

 심리적으로 이중적인 자아 상태를 유지하는 거죠.

 

 

 

그럼, 우리는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1. 말이 아닌 ‘행동’으로 판단하세요.

말로 신뢰를 유도하는 사람일수록 조심

급하게 결정하라거나 비밀로 하자는 요청은 의심

2. 내 감정(불안, 연민, 죄책감)을 이용하려는 흐름을 캐치하세요.

감정 흔들기 → 판단 흐리기 → 조작 패턴입니다.

3. ‘괜찮은 사람처럼 보이는데…’라는 생각이 들면 오히려 더 경계하세요.

사기꾼은 처음엔 다 친절하고 믿음직합니다.

 

 

“어떻게 남을 속이고도 태연할 수 있지?”

→ 그들은 죄책감을 느끼지 않거나, 회피하거나,

아예 남의 감정을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들입니다.

 

우리는 그런 심리 구조를 알아야

다음에도 같은 상처를 반복하지 않을 수 있어요.

 

“내가 착해서 당한 게 아니라,

상대가 사람의 마음을 이용할 줄 알았던 거예요.”